11. 7. 15.

사초과 식물과 벼과 식물의 차이는 뭘까요?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들 중에서 사초과, 벼과 식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언뜻 보기에는 이것이 벼과 인지 사초과 인지 무엇을 보고 구별하나 궁금증을 자아낸다. 벼과는 우리가 주식으로 먹는 쌀을 생산하는 벼가 대표적인 식물인데, 사초과 식물들도 벼와 같이 이삭이 달려 있는 식물들이 대부분이다. 이 두 가지 종을 가장 단순하게 구별하는 방법은 벼과 식물은 대부분이 일년생풀이고, 줄기 단면이 둥글게 생긴 모양이고, 엽설이 있지만,. 사초과 식물은 여러해살이풀이고, 줄기 단면이 세모모양이고, 엽설이 없다. 이정도만 알고 있어도 식물이름은 알지 못 하더라도 사초과인지 벼과인지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늘 당장이라도 주위에 있는 들풀 줄기를 손가락으로 만져보면서 세모인지, 둥근 원형 인지 동정해 보는 것은 어떨까?




천일사초: 천일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과 별 관련이 없는데 왜 이런이름이 붙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천일사초는 대부분이 모래가 많이 섞여 있는 만조선 부근에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에서 주로 자란다. 꽃은 5-7월에 피고 이삭 위에 수꽃이삭이 달려 있고, 아래는 암꽃이삭이 달려있다. 겨울이면 갯벌에 누렇게 시들어 볼품이 없어지지만, 다시 봄이 되면 뿌리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댓글 2개:

  1. 대부부느이 벼과가 일년초이긴 한데
    벼과중에 사사, 조릿대는 겨울에도 잎이 지지않는 상록성이네요 ^^;;;

    답글삭제
  2. 벼과와 사초과.. 구분이 정말 힘드네요

    답글삭제